봉제산[鳳啼山]이란 이름은 산을 위해서 내려다 보면 마치 봉황새가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등촌동 백석중학교와 등촌초등학교 근방은 흰돌이 난다하여 마을이름이 백석리였으며, 산 정상 매봉은 백제시절의 봉화터였고, 화곡동 한광고교 근방은 봉화대를 지키던 백제군사 주둔지였던 군골이 있다.
봉제산은 능동산, 매봉산, 주당산, 화곡산이라고도 불려졌는데 1760년대 해동지도 채색 필사본에는 능동산으로 표기되었으며, 여러개의 봉우리 중 특정한 봉우리를 매봉이라 부르는데서 유래하여 매봉산이라고도 불려졌고 서낭당이 있어 이곳에서 마을의 안녕과 무병장수를 기원했다고도 하여 수당산이라고도 불렸으며, 1967년 이후에는 화곡산이라고도 불려졌다.
봉제산에는 법성사와 인근 주민들이 건강, 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봉제산공원으로 결정고시되었으며 면적은 약 969,000㎣이며 산 높이는 117m이다.
동네 가까이에 아주 낮은 산인데 여러방향으로 산행을 즐길 수 있어 가볍게 산보하기 좋은 산이다.
남편이 낮에 다녀오고 좋다고 극찬을 해서 가족들과 살방거리고 걸어본 봉제산에 아름다운 봄 풍경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극락전, 산신각, 관세음보살, 석등과, 오층석탑, 종무소가 있다.
내려오는 길에 뒤에서 담은 연화사 풍경
정면에서 바라본 연화사, 올라가지 않고 먼발치에서 기도만 했다.
대한불교 태고종 [太古宗]
한국불교의 전통종단으로 태고 보우국사의 통불교(通佛敎)사상과 원융(圓融)정신의 실천을 종지로 삼고 있는 종단.
한국 불교 27개 종단의 하나이다. 고려시대 태고보우(太古普愚)국사를 종조(宗祖)로 하며 석가세존의 자각각타(自覺覺他) 각행원만(覺行圓滿)한 근본교리 를 받들어 실천하고 태고보우국사의 종풍(宗風)을 선양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 전법도생(傳法度生)함을 종지(宗旨)로 삼고 있다.
한국불교계는 해방 후 전국승려대회의 결의에 따라 '조선불교조계종총본사태고사법'과 조계종명을 폐지하고 '조선불교'라는 단일 종단으로 출범하였으나 3대 교정(종정)인 송만암에 의해 '조계종'으로 종명이 환원되었다. 1954년 5월 대통령 이승만이 가정(家庭)을 가지고 사는 중들은 다 사찰에서 물러가라는 특별담화 이후 조계종은 독신을 주장하는 세력과 승려의 결혼을 허용하는 세력으로 양분되었으나 5. 16 혁명 후 불교재건위원회에 의해 1962년 '대한불교조계종'을 종명으로 통합종단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중앙종회 구성의 쌍방 이견 대립으로 1970년 1월 박대륜(朴大輪)을 종정(宗正)으로 하여 통합종단에서 분리하여 태고종 종단을 발족하고 한국불교조계종과 통합하여 '한국불교태고종'으로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태고종은 사찰의 개인소유 인정과 승려의 결혼문제를 자율에 맡기고 있으며 출가를 하지 않더라도 사찰을 유지 운영할 수 있는 재가교역자제도인 교임제도를 두고 있다.
소의경전은 〈금강경〉과 〈화엄경〉이며, 태고종계의 주요사찰로는 서울특별시 성북구의 태고사와 서대문구의 봉원사 및 전라남도 순천시의 선암사가 있다. 또한 사설사암(寺庵) 중심의 조직이라는 특징이 있으며 전국적으로 약 3,200여 개의 사찰을 두고 있다. 2008년말 기준으로 승려 7,200명, 교임(전법사) 1,100여명 교역자와 전국 500만 명의 신도를 두고 있다. 또한, 한국불교의 전통문화인 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와 제48호 단청을 보유하고 있다.
종단의 주요기구는 총무원, 중앙종회, 중앙사정원, 승정원, 포교원 등이 있으며 전국 각 지역에 26개 교구본사와 일본과, 미주지역에 해외특별교구가 있다. 관련기관으로 사단법인 한국불교교도회가 있으며, 정기적으로 〈월간불교〉를 간행하며 기타 불교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행사로는 음력 1월 23일의 성도기념법회(成道紀念法會), 2월 15일의 열반절(涅槃節), 4월의 교도회대의원대회(敎徒會代議員大會), 4월 8일의 석가모니탄생 기념식, 8월 23일의 우란분절(盂蘭盆節), 9월 1일에서 10월 20일 사이의 범음강습회(梵音講習會), 10월 27일의 종조탄생기념법회 등이 있다.(내용출처: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연화사절을 나와 우측으로 돌았는데 개나리가 만발한 담벼락 뚝 위로 고양이가 얌전하게 앉아 있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행복한 산행이었을 듯...
잘 보고갑니다.^^
안산이라해서 경기도 안산인줄 알았는데
서울안산이군요
독립문앞에 필리핀사람들 재미있게 사진찍네요
즐거운 하루되세요 ^^
경치도 예쁘고 우정도
더 깊게 쌓으시고..
행복한 하루 잘 보고갑니다.^^~
이렇게 마음맞는 지인들이랑 아름다운 가을풍경을 보면서 하루를 행복하게 보낼수 있어 더욱 정겨움을 느끼게 한답니다..
지금은 온통 하얀눈과 앙상한 가지들만 있는 데 이런 시간도 되돌아 볼수 있기도 하구요..
언제나 행복하고 건강한 나날 되시길 바랍니다..